ViTE 2

Vite 프로젝트에서 개발 서버와 실서버 구분하는 방법

오늘 프로젝트 QA처리 도중 개발 서버와 실서버 모두 같은 이름의 사용자를 띄워줘야 하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이때 같은 이름의 사용자를 불러오는 key가 staffId였는데 개발서버와 실서버의 staffId값이 서로 다른 상황이라 구분을 해줄 수 있어야 했습니다. 이때 참고 한 문서가 아래의 링크입니다. https://ko.vitejs.dev/guide/env-and-mode.html Vite Vite, 차세대 프런트엔드 개발 툴 ko.vitejs.dev import.meta.env.MODE -> 이 문구를 console.log()로 찍어보면 개발 환경일 때는 즉 local인 경우에는 'development'를 출력하고 개발 환경이 아닌 경우에는 ‘production'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

지식 정리 📝 2023.11.15

협업 spring boot + React -- ts

우리 팀의 프로젝트는 Front는 React -- ts를 통해서 구성하고 Back은 Spring boot를 통해서 구상하기로 하였다. Back-end 분들은 작업 Tool로 Intellij를 이용하시고 Front는 VScode를 이용하기로 하였다. 먼저 Project를 구축하기 위해 https://start.spring.io/ 접속하였다. 예전에 김영한 선생님 강의를 볼 때 제외하고 처음이었다. Group명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이렇게 작성한 듯싶다. 그 후 GENERATE를 통해서 파일을 내려받았다. 그 후 아래의 링크의 내용을 적어주신 분의 글을 참고하여서 개발환경을 구축하였는데 https://velog.io/@u-nij/Spring-Boot-React.js-%EA%B0%9C%EB%B0%9C%ED%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