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utowini 4

Autowini WEB 통합 프로젝트 Vitest 테스트 시스템 도입

web-www-front는 오토위니(AutoWini)에서 기존 JSP 기반의 레거시 페이지를 React로 분리 및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통합 프로젝트입니다. 현재까지 분리된 주요 페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필터 검색 페이지통합 검색 페이지찜 목록 페이지 (마이위니)운송 정보 제공 페이지파츠위니 통합 검색 페이지파츠위니 필터 검색 페이지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테스트 코드를 도입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고 있었습니다.🤔 테스트 코드, 정말 필요한 걸까?최근 여러 기업들의 채용 공고를 보면 "테스트 코드 작성 경험"이나 "TDD 경험자 우대"라는 문구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저 역시 Toss의 es-toolkit과 NaverPay의 hidash 라이브러리에 테스트 코드 및 벤치마크..

React i18n 다국어 처리 빌드 크기 최적화

🌍 React i18n 다국어 처리 최적화, 실제 적용기Autowini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다국어(i18n) 지원을 위해 react-i18next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었습니다.처음에는 번역 JSON 파일을 import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축했지만,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청크 파일 크기 증가와 초기 로딩 성능 저하 문제를 겪게 됐습니다. 그래서 언어 처리 방식을 아예 바꾸고 i18n 번들 최적화를 적용했습니다. 그 과정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기존 방식: import로 언어 번들 포함처음에는 아래와 같이 다국어 JSON을 import해서 resources에 직접 넣는 방식이었습니다.import ko from './locales/ko/translation.json';import en from '...

지식 정리 📝 2025.06.12
Tanstack Query와 Optimistic Update로 Autowini 좋아요 기능 구현하기

Optimistic Update란 무엇일까?Optimistic Update는 한국말로는 낙관적 업데이트라고 말합니다. 성공적인 상태 업데이트가 이뤄질 거라는 가정 하에 서버 응답 이전에 UI를 미리 업데이트하는 방법입니다. 사용자 요청을 서버가 성공적으로 처리할 거라고 미리 예상하고, UI를 즉각적으로 변경해서 사용자에게 서버 응답 속도와 관계없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서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빠르게 쓸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거나 응답 시간이 길어도 사용자 경험에는 영향을 덜 미치게 됩니다. 다만, 서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잠시동안 화면에 잘못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를 대비한 오류 핸들링(롤백) 로직을 같이 설계해야 하는 주의점이 있습니다. Autowi..

지식 정리 📝 2024.12.22
WiniLogis 블로그의 가독성 문제 해결 React-Quill을 활용한 텍스트 에디터 적용

WiniLogis는 글로벌 무역 부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현재 블로그의 콘텐츠는 WiniLogis 관리자 사이트를 통해 관리되지만, 단순 텍스트만 입력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어 다른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블로그에 비해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WiniLogis 관리자의 블로그 글 작성 시 가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텍스트 에디터를 도입하여 글을 편집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방법에 대해 작성하려고 합니다.먼저 React 프로젝트와 잘 어울리는 텍스트 에디터를 찾기 위해 여러 정보를 조사했습니다. 아래 글을 통해 다양한 텍스트 에디터의 종류를 확인하고, 각 에디터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적용할 에디터를 결정했습니다.https://code-b.dev/bl..

지식 정리 📝 2024.09.25
728x90
반응형